[서울퍼시픽안과의원 배소현 원장 의학칼럼] 자칫하면 실명…열공성 망막박리
망막박리는 시세포 신경조직인 망막이 안구 내벽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응급질환으로 시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손상된 망막은 회복이 불가하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면 시력을 잃을 수 있다. 망막박리는 양상에 따라 열공성, 견인성, 삼출성으로 구분하는데, 이 중에서 열공성 망막박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열공성 망막박리는 열공, 즉 망막에 생긴 구멍이 점점 커지고 노화된 유리체가 그 사이로 스며들어 망막이 분리되는 현상이다. 노화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20-30대 젊은 층 환자도 늘고 있다. 특히 초고도근시와 망막박리 가족력이 있다면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발병보다 더 일찍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린 나이도 안심할 수는 없다. 고도근시 및 초고도근시는 안구의 길이가 길어지고 눈 내부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망막이 팽팽히 당겨지고 얇아져서 쉽게 구멍이 생기거나 찢어질 수 있다. 운동 중에 망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도 망막박리가 생길 수 있어 활동량이 많은 젊은 층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
열공성 망막박리는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비문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눈앞에 날파리나 먼지 등이 떠다니는 듯한 증상으로, 유리체의 노화로 생긴 혼탁이 주된 원인이지만, 젊은 층에서 갑자기 비문증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단순한 노화로 인한 비문증이 망막이 찢어지면서 발생한 비문증인지는 검사를 통해서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망막박리의 범위가 넓어져 눈의 중심부인 황반 부위까지 침범하면 급격한 시력저하가 생기고 심한 경우 실명까지 이른다. 이외에도 광시증이 나타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시가 터지는 것처럼 눈앞이 번쩍거리는 증상이다. 사물의 색이나 형태가 왜곡되어 보이는 변시증도 열공성 망막박리의 증상 중 하나이다.
열공성 망막박리는 진단과 동시에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가 늦어질수록 손상된 망막을 원래대로 회복하기 어렵다. 증상이 나타나면 단순한 노화가 원인인지, 망막열공으로 나타나는 증상인지 정확하게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다. 열공성 망막박리가 아직 진행이 거의 되지 않았다면 냉응고술이나 레이저치료 등을 즉각 시행한다. 그러나 망막박리가 황반부까지 번진 상태라면 반드시 수술을 해야 한다.
대표적인 망막박리 수술법은 유리체절제술이다. 혼탁해진 유리체를 제거하고 가스 또는 실리콘 기름 등을 주입해 망막에 생긴 구멍을 막고 떨어진 망막이 제자리에 잘 붙을 수 있도록 하는 수술이다. 망막이 제자리에 잘 유착되어야만 시력을 보존할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받은 후에도 정기검진이 중요하다. 망막 상태를 지속적으로 살피고 관리해야 망막박리의 재발 위험을 줄이고 시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칼럼기고_ 서울퍼시픽안과 배소현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