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정보 및 소식

SEOUL PACIFIC

[언론] 망막박리, 2030 세대도 흔해 …정기 안과 검진으로 예방해야

 

DSC_0570.jpg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및 컴퓨터 등의 장비 이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도근시 환자의 비율도 높아졌는데, 문제는 고도근시라는 질환을 잘 모른 채 방치하는 분들이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 질환은 시력 저하뿐만 아니라 심각한 안구질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고도근시의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최근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질환이 있다. 그것은 바로 망막박리로, 안구 내벽에 위치해야 할 망막이 분리되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망막은 10개 층으로 구성된 얇은 신경조직으로, 눈으로 들어온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서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망막이 손상되거나 분리되면 시야가 또렷하게 확보되지 않고, 가려져 보이거나 사물이 일그러져 보이기도 한다.


특히 망막 중에서도 가장 바깥층에 위치한 망막색소상피세포는 단일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망막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도와준다. 또한 액체를 망막 아래 공간에서 눈 밖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망막이 안구 내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망막 중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조직이다.

 

망막은 이렇게 중요한 조직임에도 올바른 관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떨어져 들뜰 수 있다. 들뜨면 망막이 영구적으로 위축되고, 결국 실명에 이르거나 안구가 위축될 위험도 있다. 이런 현상을 망막박리라고 부르며, 이때 비문증과 광시증이 주로 동반되는 편이다.


초반에는 증상이 심하지 않아 불편하지 않을 수 있지만, 망막박리가 심해질수록 날파리나 먼지가 날아다니는 것 같은 비문증 증상이 심해지고, 눈앞이 자주 번쩍이는 광시증에 고통스러울 수 있다. 이 밖에도 시야의 일부가 일그러져 보이고, 가려져 보여서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따라서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눈앞의 빛 번짐이 심하고, 눈앞에 먼지가 자꾸 보이는 것 같다면 망막 상태를 살펴보는 것이 좋다.


보통 망막박리의 주된 요인으로 노화를 지목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눈 조직이 약해지고, 유리체가 액화되면서 망막박리가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최근 디지털 장비를 오래 보는 현대인들이 늘어나면서 고도근시를 앓는 비율이 늘어났고, 이에 따라 망막박리의 주된 요인으로 고도근시가 꼽히고 있다.


고도근시가 망막박리를 야기하는 원리는 안구 길이 때문이다. 근시가 심하면 안구 길이가 늘어나는데, 해당 과정에서 안구에 붙어있던 망막이 팽팽히 당겨지게 되고, 결국 구멍이 생기거나 찢어지게 된다. 이처럼 고도근시와 망막박리의 상호관련성이 높은 만큼 2-30대도 망막박리로부터 안심해서는 안 된다.


망막박리를 올바르게 치료하기 위해선 양상을 미리 파악하고 있는 것이 좋다. 망막박리는 양상에 따라 열공성, 견인성, 삼출성으로 분류하며,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치료법이 다르다. 우선 열공성은 망막에 발생한 구멍이 커지고, 노화된 유리체가 그 사이로 스며들면서 망막을 잡아당겨 망막 분리가 야기된 경우이다.


이처럼 양상이 세분화된 만큼 면밀한 검사를 실시해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만일 망막에 구멍이 발생한 망막열공이 있거나 망막박리가 주변부에만 진행되었을 경우, 레이저를 실시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망막박리가 많이 진행되어 망막의 핵심인 황반까지 침범했다면 수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대표적인 망막박리 수술법은 유리체절제술로, 망막에 구멍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는 유리체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를 통해 혼탁해진 유리체를 제거하고 가스 또는 실리콘 기름 등을 주입해 망막이 제자리에 잘 붙을 수 있도록 한다.  망막이 제자리로 돌아가면 빛이 망막까지 잘 닿을 수 있도록 기여해 시력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수술 방법은 환자의 직업, 망막박리 발병 위치에 따라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망막박리는 진단이 빠를수록 치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력 예후도 좋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다면 조기에 망막 검진을 받아 망막열공의 위험성을 미리 검토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문증 혹은 광시증이 있을 경우, 지체하지 않고 망막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런 빠른 대응도 중요하지만, 40대 이후의 중년층이거나 유전력이 있다면 정기적인 안과 검진으로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다.


배소현 서울퍼시픽안과 원장

 

출처 : 세계비즈 

서울퍼시픽안과의원
서울시 중랑구 면목로 492 주연빌딩 2층, 4층
대표자 : 배소현, 조준희 사업자등록번호 : 598-96-01154
대표전화 : 02-2038-0884 팩스 : 02-2038-0886 이메일 : pacificeye@pacificeye.co.kr
서울시 중랑구 면목로 492 주연빌딩 2층, 4층
사업자등록번호 : 598-96-01154
대표자 : 배소현, 조준희
이메일 : pacificeye@pacificeye.co.kr
대표전화 : 02-2038-0884
팩스 : 02-2038-0886